2023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

2023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은 2024년에 적용이 됩니다. 소득기준은 2023년도에 만들어 놓은 기준표를 기준으로 공고시점부터 서류제출 후 검토 기간 중 대표적인 건보 월 평균 소득을 보게 됩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3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말 그대로 도시의 근로자 소득을 대상으로 평균 소득을 낸것을 말합니다. 도시가 아닌 농촌, 어촌, 산림지역에서 일어난 소득은 제외된 수치입니다.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은 주택청약, 공공 분양 혹은 임대 시 소득기준에 사용됩니다.
그리고 지금 당장 청약을 하시거나 대출을 일으키시는 분들은 전년도 소득기준으로 하니 참고하시고, 2022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을 확인하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셔서 확인해주세요.

2022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


2023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정보

3인 가구 ~ 5인 가구 (단위 원)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70% 4,556,616 5,335,439 5,628,344
80% 5,207,562 6,097,645 6,432,394
100% 6,509,452 7,622,056 8,040,492
110% 7,160,397 8,384,262 8,844,541
120% 7,811,342 9,146,467 9,648,590
130% 8,462,288 9,908,673 10,452,640
140% 9,113,233 10,670,878 11,256,689

6인 가구 ~ 8인 가구 (단위 원)

6인 가구 7인 가구 8인 가구
70% 6,091,147 6,553,950 7,016,753
80% 6,961,311 7,490,229 8,019,146
100% 8,701,639 9,362,786 10,023,933
110% 9,571,803 10,299,065 11,026,326
120% 10,441,967 11,235,343 12,028,720
130% 11,312,131 12,171,622 13,031,113
140% 12,182,295 13,107,900 14,033,506
  • 8인가구를 초과하는 가구의 소득 기준은 8인 가구 월평균 소득금액에 초과 1인당 소득금액 661,147원을 추가해야합니다.
  • 예시) 9인 가구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 평균소득액 100% 기준 : 10,685,080원 (10,023,933원 + 661,147원 = 10,685,080원)

현재 진행중인 공공임대 확인

현재 진행중인 공공분양 확인

2024년 1월부터 시행되는 정부정책자금 신생아 특례대출을 발빠르게 확인하세요.

2024년 1월 신생아 특례대출


공공 주택(아파트)의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적용 기준

2023년 공공주택 청약 시, 적용되는 소득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공급

  • 다자녀 가구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20% 이하
  • 노부모 부양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20% 이하
  • 생애최초
    – 우선공급(70%) :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00% 이하
    – 잔여공급(30%) :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30% 이하
  • 신혼부부
    – 우선공급(70%)
    1. 배우자 소득 없는 경우 :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00% 이하
    2. 배우자 소득 있는 경우) :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20% 이하
    – 잔여공급(30%)
    1. 배우자 소득 없는 경우 :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30% 이하
    2. 배우자 소득 있는 경우) :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40% 이하

2023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기준

일반공급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 적용)

  •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액의 100% 이하

가구 소득 조회 방법

만약, 월 소득이 일정하지 않으신 경우이거나 월 급여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장에 찍힌 금액을 너무 신경쓰지 마시고, 건강 보험공단에 들어가시면 회사에서 신고한 보수월액이 있으실테니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 사이트에 로그인 – “보험 조회/납부” – “직장보험료 조회 메뉴에서 확인

국민건강보험 보수월액 검색하기


신혼부부 특별공급 1순위 조건으로 청약통장부터 소득기준과 자산보유산정, 무주택 기준까지 모든 내용이 담긴 글입니다.

신혼부부 특별공급


청약통장 1순위 조건으로 공공분양, 민간분양, 공공임대 등 청약통장 마다 예치금 및 납입횟수가 다릅니다. 아래의 글을 확인하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청약통장 1순위 조건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