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패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테리어를 시공할 때 바닥 혹은 타일이 들어가는 곳에는 어떤 타일을 선택할지? 혹은 어떤 패턴으로 해야할지 고민이 많으실겁니다. 이럴 땐 어떠한 패턴이 있는지부터 알아보는 것이 순수일거 같아요. 어떠한 패턴이 있는지 알고 난 후에 그에 맞춰 매끈한것과 거친것을 고르고 그에 맞는 색을 배합하면 인테리어를 정하는 재미가 쏠쏠하답니다.
인테리어 패턴의 종류
ㄱ
인테리어 업자나 시공하시는 분들이 패턴을 물어볼 때 패턴에 관한 종류를 알려주지 않은채 정하라고 물어보는 경우가 흔하며, 직접 셀프시공을 준비하실 때도 이러한 패턴에 대한 것을 먼저 파악한 뒤 나의 취향에 맞는 패턴을 정하는것이 방법일듯 합니다.
그럼 어떠한 패턴이 있고, 그 패턴은 어떤 인테리어가 되는지 이미지로 알아보면 좋을거 같네요.
브릭 패턴
브릭(Brick) 패턴은 전형적인 패턴입니다. 벽돌을 뜻하는 영어로 레고, 옥스포드, 메가블럭 등 장난감 회사에서 생산한 개개의 블록을 브릭(Brick)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이러한 브릭 패턴은 가로의 패턴과 세로의 패턴으로 나뉠 수 있으며, 벽돌 크기의 모양과 가느다란 모양의 타일로 나뉘며, 거친 브릭 타일은 외장재로 많이 쓰이며, 내부에서는 주방 타일로 흔히 쓰이고 있습니다.
가로 패턴과 세로 패턴
벽돌의 패턴을 가로방향으로 하느냐 세로방향으로 하느냐 이 별것 아닌것에 많은 고민을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가느다란 패턴과 전통적인 패턴
전통적인 벽돌 모양 혹은 벽돌 st 타일도 있으며, 가느다란 변형된 자재들이 많이 나왔으니 여러곳에서 많은 디자인이 나와있습니다. 2010년에서 이런 가느다란 형태의 브릭 타일을 많이 사용하였는데 오히려 레트로 열풍으로 전통적인 붉은 벽돌도 많이 찾으시는거 같습니다.
거친 단면과 매끄러운 단면
거친 단면은 외벽에 시공되지만 실내에서도 가끔 사용됩니다. 하지만 그렇게 거친 단면은 아니에요. 흉내만 낸 타일을 시중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매끄러운 단면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타일이지만 어떠한 패턴이냐에 따라 디자인 요소를 불어넣을 수 있으니 많은 고민이 뒷따라야겠습니다.
바스켓 패턴
바스켓 패턴에는 다이애그널 바스켓과 스퀘어 바스켓 패턴이 있습니다. 두 가지 패턴이 비교되는 패턴입니다. 스퀘어 바스켓은 직각의 형태로 가로세로의 규격으로 패턴을 보인다면 다이애그널 바스켓은 대각선의 형태로 바스켓 안에 가로세로의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두 패턴은 벽면에서 부터 대각선으로 출발하느냐 정방향으로 출발하느냐에 따라 나뉘는 패턴입니다.
스퀘어 바스켓
스퀘어 바스켓 패턴은 벽면에서 정방향으로 시작되는 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다이애그널 바스켓
다이애그널 바스켓은 벽면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출발하는 형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헤링본 패턴
헤링본 (Herringbone)은 크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싱글 헤링본과 더블 헤링본 그리고 스퀘어 헤링본.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벽면에서 정방향으로 시작하느냐 대각선으로 시작하느냐에 따라 스퀘어와 싱글 헤링본 패턴으로 판단하실 수 있습니다. 싱글과 더블은 한줄이냐 두줄이냐의 패턴으로 이해하시면 되구요. 그럼 아래의 이미지를 보면 이해가 더 빠르실 겁니다.
싱글 헤링본 패턴
싱글 헤링본 패턴은 벽면에서 대각선으로 출발합니다. 화이트 컬러에서 다채로운 색감과 전통적인 갈색 배색으로 취향을 선택해보세요. 배색에 따라 전혀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을겁니다.
더블 헤링본 패턴
두줄 패턴의 더블 헤링본 패턴입니다. 주방의 벽면에 더블 헤링본이 시공된 걸 저도 처음 보는데 독특하면서 깔끔한 주방을 연출할 수도 있네요. 해외 주방 사례인데 따라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을거 같네요.
스퀘어 헤링본 패턴
건물 외벽의 스퀘어 헤링본 패턴입니다. 기존의 스퀘어 헤링본 패턴에서 약간의 변형을 주어 디자인적인 요소를 극대화 한 모습입니다. 인테리어 바닥 스퀘어 헤링본 패턴은 자세히 보시면 벽면에서 정방향으로 출발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쉐브론 패턴
쉐브론 패턴은 두개의 지붕 형태와 유사함을 지니고 있습니다. 헤링본 패턴과 비슷하여 때로는 똑같은 패턴으로 인식하는 경우도 있지만 엄연히 다른 패턴이며, 깔끔하게 맞아 떨어지는 패턴이라 선호하는 분들도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