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미분양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미분양 아파트가 급속도로 소진되고 있다는 뉴스가 연일 보도되고 있는 가운데 8월 기준 대구 중구 미분양 리스트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전국에서 미분양 단지가 가장 많은 대구는 여전히 녹녹치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월대비 2%가량 줄어든 수치를 보이고 있네요.
그럼 대구에서 어떤 아파트가 미분양인지 그리고 얼마나 줄어들었는지 리스트를 확인해보겠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대구 중구 미분양 리스트 [2023년 8월 기준]
1. 동성로 SK리더스뷰 미분양
- 대구시 중구 삼덕동2가 5번지 일원
- 시공사 : 에스케이건설(주) 02 – 3700 – 7621
- 시행사 : (주)한국토지신탁 02 – 3451 – 1231
- 민간 분양
- 미준공
동성로 SK리더스뷰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2. 대구역 한라하우젠트 센트로 미분양
- 대구시 중구 태평로1가 11번지 일원
- 시공사 : (주)한라공영 053 – 753 – 1875
- 시행사 : (주)한라개발 053 – 753 – 1557
- 민간 분양
- 미준공
대구역 한라하우젠트 센트로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3. 힐스테이트 대구역 퍼스트 미분양
- 대구 중구 태평로3가 221-5번지 일원
- 시공사 : (주)현대건설 1577 – 7755
- 시행사 : (주)하나자산신탁 02 – 3287 – 4600
- 민간 분양
- 미준공
힐스테이트 대구역 퍼스트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4. 힐스테이트 대구역 퍼스트 2차 미분양
- 대구 중구 태평로3가 211-1번지 일원
- 시공사 : (주)현대건설 1577 – 7755
- 시행사 : (주)하나자산신탁 02 – 3287 – 4600
- 민간 분양
- 미준공
힐스테이트 대구역 퍼스트 2차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5. 힐스테이트 동인 미분양
- 대구시 중구 동인동1가 211번지 일원
- 시공사 : 현대엔지니어링
- 시행사 : (유)동인동디엠 02 – 3409 – 5439
- 민간 분양
- 미준공
힐스테이트 동인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4. 대봉서한이다음 미분양
- 대구 중구 대봉동 590-395번지 일원
- 시공사 : (주)서한 010 – 4224 – 5079
- 시행사 : (주)하나자산신탁 02 – 3287 – 4660
- 민간 분양
- 미준공
대봉사한이다음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5. 더샵 동성로센트리엘 미분양
- 대구 중구 공평동 58-1번지 일원
- 시공사 : 포스코건설 053 – 759 – 3092
- 시행사 : (주)하나자산신탁 02 – 3287 – 4600
- 민간 분양
- 미준공
더샵 동성로센트리엘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6. 명덕역 루지움푸르나임 미분양
- 대구시 중구 남산동 2116-19번지
- 시공사 : (주)현창건설, (주)유성건설
- 시행사 : 남산행복가로주택정비사업조합
- 민간 분양
- 미준공
명덕역 루지움푸르나임 미분양 세대수
- 건설사 요청으로 비공개
대구 중구 미분양아파트 리스트
대구 중구 미분양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찾고 계셨다면, 우선 대구의 미분양 주택상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현재 대구의 미분양 주택시장은 다양한 동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6월과 비교해 229가구(2%)가 줄어든 미분양 주택시장에서, 여전히 대구는 전국 미분양 주택 물량의 17.7%를 차지하며 전국 최다의 미분양 주택 보유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흥미로운 점은 대구의 미분양 주택 수가 2월에 정점을 찍은 후 계속해서 감소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구·군별로 미분양 주택 물량을 살펴보면 수성구에서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이 줄었습니다. 수성구 미분양 물량은 1천740가구에서 1천619가구로 121가구 감소해 대구 전체 감소 물량의 53%를 차지하였습니다. 달서구가 43가구, 동구가 33가구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준공 후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악성 미분양은 755가구로 전월(861가구)보다 106가구 줄어 눈길을 끌었습니다. 대구의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4월 1천17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3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7월 대구의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은 위축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7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2천283건으로 전월(2천559건)에 비해 10.8% 줄었고, 같은 기간 전월세 거래량도 6천253건에서 5천646건으로 9.7% 감소했습니다.
송원배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 이사는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수성구를 중심으로 소진되며 감소했지만,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도 전월에 비해 줄어들었다”면서 “하반기 입주 물량이 많은 가운데 시장이 조금 회복했다가 다시 위축되는 등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구 중구 미분양 리스트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한다면, 미분양 주택의 동향과 현재 상황을 주목하며 중구에서의 미분양 주택 상황을 조사해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아래는 각 키워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한 글입니다.
대구 아파트 미분양: 도시의 주택 시장 동향
대구는 한때 미분양 주택의 무서운 증가로 주목받았으나, 최근의 데이터에 따르면 대구의 미분양 주택 시장은 변화 중에 있습니다. 6월에 비해 229가구(2%)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전국 최다의 미분양 주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지난 2월에 정점을 찍은 뒤, 계속해서 미분양 주택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결과입니다.
구·군별로 미분양 주택 물량을 살펴보면 수성구에서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이 줄었습니다. 수성구의 미분양 물량은 1천740가구에서 1천619가구로 121가구 감소해 대구의 전체 감소 물량의 53%를 차지하였습니다. 달서구가 43가구, 동구가 33가구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준공 후 미분양이라고 불리는 악성 미분양 또한 줄어들었습니다. 7월에는 755가구로 전월(861가구)보다 106가구 감소했으며, 이는 4월에 1천17가구로 정점을 찍은 뒤 3개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대구 중구 미분양 리스트를 찾고 계신다면, 미분양 주택 시장의 동향을 주목하고, 중구에서의 미분양 주택 상황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구 미분양 주택: 주택 시장의 위축
하지만 대구의 미분양 주택 감소와는 별개로, 주택 시장의 다른 부분에서는 조금 더 어두운 그림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7월에는 주택 매매 거래량이 1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같은 기간에 전월세 거래량도 9.7%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는 대구 주택 시장이 현재 위축되어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송원배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 이사는 “대구의 미분양 물량은 수성구를 중심으로 소진되며 감소했지만,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도 전월에 비해 줄어들었다”면서 “하반기 입주 물량이 많은 가운데 시장이 조금 회복했다가 다시 위축되는 등 박스권 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택 시장의 동향을 계속 주시하며, 대구 중구 미분양 리스트를 찾아보시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주택 시장의 변화를 주시하여 투자나 주택 구매 등의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