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의 발전을 가속화시키는 대규모 사업 중 하나로 대한민국 최초이자 최대의 사업입니다.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워사령부, 공군방공포병학교 등 4개의 군부대가 도심에서 대구 시외로 통합 이전을 준비중에 있습니다. 최근 국방부와 대구시 간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MOU체결이 예정되어, 빠르면 23년 09월에 빛나는 초석이 마련될것으로 보이네요.
대구 군부대 이전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 사업은 대구의 발전과 도시 구조 개선을 위한 중요한 초석으로, 민선 8기부터 많은 공약으로 등장한 사업 중 하나입니다. 대구시는 육군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공군방봉포병학교 등 도심에 위치한 4개의 군부대를 대구 시외로 통합 이전하는 계획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도심의 재탄생과 구조개선이 기대되며, 대구는 이 넓은 군부대 토지를 어떻게 활용할것인지 기대가 되네요.
내심 가지는 기대는 반도체나 자동차회사가 들어와주면 좋으련만…
대구 2작사 이전
대구시는 최근 국방부에 사전이전협의요청서를 제출하여, 군부대 이전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이전사업에 필요한 시설을 검토하고, 잔류세대 문제 등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였습니다. 이전사업은 대구 도심에서 군부대를 대구 시외로 통합 이전하는 복잡한 작업이지만, 양측의 노력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MOU 체결 단계까지 진전되었습니다.
대구 제2작전사령부 이전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발전을 가속화시키는 대규모 사업 중 하나입니다. 이전 사업을 통해 군부대가 도심에서 이동하면, 대구는 미래를 위한 발전의 새로운 초석을 마련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그동안 제2작전사령부로 인하여 주변은 개발제한구역으로 보존되어왔습니다. 이 넓은 땅을 그것도 수성구에서 쓰고 있으니 제2작전사령부가 이전하고 나면 그 넓은 땅에 기업유치가 되기를 바랍니다.
대구 50사단 이전 / 공군 방공포병학교 이전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은 대구시와 국방부 사이에 협의가 이루어진 중요한 사업입니다. 잔류세대 문제 등 이전사업에 대한 의견 차이를 조율하여 MOU체결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구 도심의 구조 개선과 발전이 빠르게 추진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대구 미군부대 이전
대구시는 미군부대 이전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 4월 공식적인 ‘이전협의 제안’ SOFA절차에 따라 국방부 및 외교부 검토를 거쳐 주한미군사령부(USFK)에 전달됐으며, 지난 6월 미측에서는 주한미군사령부(USFK)가 미 국무부로부터 협상권한을 위임받는 절차(C-175)가 진행 중에 있다고 전했습니다.
대구 미군부대 이전 상황
대구시에서는 올해 안으로 미군부대 이전 사업을 가시화하기 위해 대구 미군부대 이전사업을 전담할 ‘SOFA 특별분과위원회’의 신설과 실무협의를 이어나갈 사전 실무협상단 구성도 제안했으며 미군측과 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대구시는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미군부대 이전사업이 어려워지지 않느냐”는 우려와 다르게 적극적으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라 전했습니다.
대구시는 미군부대 이전은 내년 상반기를 목표로 ‘SOFA 과제채택’을 추진 중이며, SOFA 과제로 채택되면 본격적으로 한미간 ‘SOFA 과제협상’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대구 미군부대 규모
대구광역시가 이전을 계획중인 미군부대로는 캠프워커, 캠프헨리, 캠프조지가 있으며, 모두 대구시 남구에 소재하고 있으며, 미군부대 3개소 전체 면적은 30만평에 달하는 규모입니다. 그 중 캠프워커는 남구 대명동에 위치하며 22만 1천평 규모입니다. 캠프워커 일부 면적은 선 반환되어 대구시는 대구 대표도서관을 건립하고 있으며, 그동안 개통이 되지 않았던 3차 순환도로 역시 도로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미군부대의 이전으로 미군부대 후적지에 대구모 공원관광시설과 첨단사업시설, 교육시설 등 복합공간으로 개발하려 계획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구 도심 주요 군부대 현황
대구 국군부대
지도로 보실 때 로드뷰가 없는 곳이 군부대 크기라 보시면 됩니다.
K-2 공군기지
- 동구 둔산동•검사동•도동 644만 6,280m²
육군 50사단 사령부
- 북구 동호동•검단동 320만 6,611m²
육군 제2작전사령부
- 수성구 만촌동 127만 9,338m²
육군 5군수지원사령부
- 수성구 가천동 57만 5,206m²
공군 방공포병학교
- 수성구 이천동 62만 1,487m²
대구 주한미군
캠프 워크
- 남구 대명동•봉덕동 78만 3,471m²
캠프 헨리
- 남구 이천동 24만 1,322m²
캠프헨리 지도보기
캠프 조지
- 남구 대명동 6만 2,809m²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군대 위치를 직접 표기해도 괜찮은건가요?